사회생활과 경제생활을 시작하며 20대분들이 관심을 갖게 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신용점수'입니다. 20대의 평균 신용점수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을 수 밖에 없는데요. 20대의 신용점수의 평균을 알아보고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까지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적인 20대 평균 신용점수와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20대 평균 신용점수
20대의 평균적인, 현실적인 신용점수와 더불어 20대 뿐 아니라 30대, 40대, 50대 등 전 연령대에 걸친 신용점수 평균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연령대 | 평균 신용점수 |
20대 | 821점 |
30대 | 853점 |
40대 | 850점 |
50대 | 828점 |
60대 | 848 |
대한민국 평균 신용 점수 | 838점 |
위의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먼저 대한민국의 20대 평균 신용점수는 821점입니다. 30대 평균 신용점수는 853점으로 약간 상승하였다가 40대의 평균 신용점수는 850점으로 3점 하락하며, 50대는 20대 신용점수 이후 가장 낮은 828점의 평균적인 신용점수를 기록합니다. 이후 60대에서는 848점으로 평균적인 신용점수가 다소 상승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대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전 인구의 신용점수 평균을 구하자면 838점이며, 이는 20대의 평균적인 신용 점수에 비해 17점 높은 점수입니다.
내 점수는 몇 등급?
현재 신용점수는 기존의 '등급' 제도가 아닌 '점수'제도로 운영되어 1점 척도로 비교/구분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의 점수를 옛 등급으로 비교해보는 것도 '나의 신용점수가 몇 등급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재미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데요.
대한민국에서 신용도를 평가하는 기관은 KCB와 NICE가 있는데요. 두 기관의 등급을 통해 점수를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등급 | KCB | NICE |
1등급 | 942 ~ 1000 | 900 ~ 1000 |
2등급 | 891 ~ 941 | 870 ~ 899 |
3등급 | 832 ~ 890 | 840 ~ 869 |
4등급 | 768 ~ 831 | 805 ~ 839 |
5등급 | 698 ~ 767 | 750 ~ 804 |
6등급 | 630 ~ 697 | 655 ~ 749 |
7등급 | 530 ~ 629 | 600 ~ 664 |
8등급 | 454 ~ 529 | 517 ~ 599 |
9등급 | 335 ~ 453 | 445 ~ 516 |
10등급 | 0 ~ 334 | 0 ~ 444 |
신용 점수를 과거의 신용 등급으로 비교하면 위와 같습니다. 다행히도 등급제가 점수제로 변경이 되며 대출 심사는 좀 더 용이해졌다고 합니다.
20대의 신용점수가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0대의 평균적인 신용점수가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당연히도 20대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과 능력, 경험' 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이로 인해 그만큼 20대의 신용 점수를 평가할 수 있는 신용 정보 또한 부족하기에, 자연스럽게 신용 점수가 높을 수 없는 것인데요.
밑에서 후술하겠지만 신용 점수는 신용카드 사용이나 상환 이력 등 다양한 경제적 / 사회적 활동이 있을 때 플러스가 되기 때문에 아직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으로 그러한 경험이 부족한 20대들에게 신용점수는 낮은 지표로 남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신용 점수 올리기
20대 혹은 신용 점수가 낮은 분들이 신용 점수를 올리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신용점수를 올리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들과 하면 좋은 것들이 있는데요.
신용 점수를 올리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들
1) 연체
우리 사회에서 '연체'는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지만 20대일수록,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연체는 피해야 할 것들 중 하나입니다. 학자금 대출이나 카드 대금, 다양한 납부와 관련해 매달 돈이 지출되지 않으면 '연체'가 되는데 이러한 연체가 자주 발생할수록 내 신용 점수에는 악영향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후불제'로 결제가 예약 된 건들에 대해서는 항상 연체가 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2) 대출
결론부터 말하자면 '적당하고 적절한 대출'은 오히려 신용 점수를 올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출을 잘 상환만 한다면 이는 나의 경제적 능력을 증명하는 좋은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우리가 살면서 꼭 필요한 학자금 대출이나 부동산 대출 등은, 이러한 대출을 한다는 이유만으로 신용점수에 악영향이 가지는 않습니다.
다만 '소액 대출'이나 '현금서비스', '카드론' 같은 대출들은 신용 점수에 악영향이 가게 되기에 정 현금이 필요하시다면 '마이너스 통장'이나 '신용 대출'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신용 점수를 올리기 위해 하면 좋은 것들
1) 신용카드
무엇이든 '과'하면 독이 된다고, 신용카드 또한 '과'하면 독이 됩니다. 단 신용카드를 연체되지 않고 매달 꼬박꼬박 적절한 지출 속에 상환이 가능하다면 신용카드를 통해 나의 낮은 신용 점수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아래의 방법들을 통해 신용카드로 나의 신용 점수를 상승시켜 보세요!
- 신용카드 한도의 3~50% 내에서 매달 꾸준한 신용카드 사용
- 장기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를 꾸준히 사용하기(꾸준한 상환은 필수)
- 웬만하면 일시불 결제하기 (할부 결제는 앞의 '연체'와 같은 개념의 부채가 될 수 있습니다.)
2) 주거래 은행 설정하고 자주 사용하기
신용카드 상환 꼬박꼬박 잘하고, 학자금 대출이나 부동산 대출 등을 받은 후 이 또한 상환이 문제 없는 여러가지 상황을 통해 신용 점수를 상승시키셨다면 이제는 '주거래 은행'을 정하고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미래를 위해 예적금 가입 등을 하거나 급여를 이체 받거나, 앞서 말씀드린 여러 대출을 받는 주거래 은행을 제 1금융권 위주로 선택하신다면 나의 경제적 능력에 대한 신용도 또한 상승되게 되어 있습니다.
3) 적극적으로 신용평가 활용해보기
신용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신용 등급을 올릴 수 있습니다. 신용평가를 받아보는 것 자체가 나의 신용과 신용 점수에 관심이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져서 신용 점수를 올릴 수 있는 건데요.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방법으로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신용성향 설문조사 참여 (KCB 올크레딧)
- 신용 관련 서류 납부(신용평가기관)
-> 앞서 말씀드린 NICE나 KCB와 같은 신용평가기관에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납부내역서, 공과금 납부 내역서, 통신요금, 소득금액증명원 같은 서류를 제출하면 신용 등급이 상승됩니다.
지금까지 20대의 평균 신용점수가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와 신용 점수를 올리기 위해 해야 할 것들, 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셨습니다. 신용점수가 낮다고 조급해하지 마시고 신용도를 올리는 데 집중하여 모두 높은 신용 점수를 얻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기타] 알쓸유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점수(등급) 조회하면 불이익 받나요? 바로 확인해보자! (0) | 2024.02.08 |
---|---|
청년행복주택 조건 및 신청방법 빠르고 완벽하게 이해하기 (0) | 2024.02.06 |
연말정산 특집 |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차이 빠르고 확실하게 이해하기 (0) | 2024.02.05 |
직장인인 내가 부업으로 월 600만원을 번 방법 낱낱이 공개(+수익 인증) (0) | 2024.01.29 |
ATM 영업시간, ATM 점검시간 한 눈에 빠르게 확인하기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