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후준비(연금저축 등)

연금저축펀드 증권사 추천 및 수수료 비교 한 눈에 확인하기

by 삼건희 2024. 1. 11.

국민연금 고갈 뉴스와 파격적인 세액공제 혜택으로 이제는 안 하는 분을 찾기 어려워 진 '연금저축펀드'!

 

하지만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하려고 하면, 막상 어떠한 증권사를 이용해야하는지 고민하시는 분도 많이 계신데요.

연금저축펀드는 빠르게 시작하면 할수록 이득이라고 볼 수 있기에, 연금저축펀드 증권사 별 수수료를 잘 확인하셔서 빠르게 시작하셔야 하겠습니다.

 

오늘 이 시간 부로 연금저축펀드 계좌 개설을 위한 증권사 수수료 비교를 한 눈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란?

 

연금저축펀드란 쉽게 말해 국가에서 각 개인의 노후대비를 보장해 주기 위해 현재 파격적인 세액공제 혜택 등과 함께 개인들의 노후준비를 도와주는 것인데요.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는 다양한 종목을 자유롭게 선택해 운영하실 수 있으며 1년 간 900만원을 연금저축계좌에 투자 시 엄청난 세액공제 혜택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연금'과 '노후대비' 용이다 보니, 계좌에 들어간 돈은 55세 이후에 연금으로만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가입 시 혜택

 

연금저축 가입 시 혜택은 든든한 노후준비 뿐 아니라 현재에서도 급여 수준에 따라 다양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준 공제율 세액공제액
총 급여 5,500만원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또는 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하 16.5% 최대 1,485,000원
초과 13.2% 최대 1,188,000원

 

연금저축펀드 증권사 수수료 비교

 

증권사 별 수수료를 비교하기 전, 연금저축계좌에는 모든 증권사가 동일하게 '계좌관리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계좌 개설 및 관리에 따른 수수료는 없으며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ETF를 매매할 때 매매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증권사 운용관리 수수 기타
온라인 오프라인
미래에셋증권 계좌관리: 비대면 다이렉트 = 0.014%
계좌관리: 일 영업점: 0.14%
0.49%  
메리츠증권 0.198132% + 900원
(100만원 이하)
0.198132% + 1,000원
(300만원 미만)
0.498132%
(2억원 이하)
 
한국투자증권 0.0140527% 0.04971487%
(2억원 미만)
 
나무증권(NH투자증권) 0.01%
(모바일 계좌 전용)
0.4972%
(2억원 미만)
 
삼성증권 0.147216% + 1,500원
(1,000만원 미만)
0.127216% + 3,000원
(5,000만원 미만)
0.497216%
(2억원 이하)
 
KB증권 0.12%
(모바일)
0.4973%
(2억원 이하)
 
신한투자증권 0.189733%
(모바일)
0.499733%
(2억원 이하)
 
하나증권 0.0141639% 0.4972962%
(2억원 미만)
 
키움증권 0.015%    
대신증권 0.1672959% + 700원
(100만원 이하)
0.1572959% + 900원
(500만원 이하)
0.4972959%
(5천만원 이하)
 
한화투자증권 0.15%(모바일) 0.4975%
(2억원 미만)
 
유안타증권 0.1%
(모바일)
0.5%
(2억원 이하)
 
신영증권 0.0997330% 0.4497330%
(2억원 미만)
 
이베스트투자증권 0.015% 0.48%
(5천만원 미만)
 
교보증권 0.1492% + 500원
(2백만원 미만)
0.1492%
(2백만원 이상)
0.4992%
(2억원 미만)
 
하이투자증권 0.4972%
(30만원 미만)
0.1372% + 1,000원
(300만원 미만)
0.4972%
(2억원 미만)
 
현대차증권 0.1981%
(모바일)
0.4981%
(2억원 이하)
 

 

위 표에 따르면 신영증권이 0.0997330%로 가장 저렴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키움증권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키움증권을 통해 국내외주식을 하다보니 하나의 증권사로 관리하기 위해 키움을 선택했습니다. 주위에서는 인터페이스도 좋고 수수료도 저렴한 나무증권을 대체적으로 많이 추천하는 듯 합니다.